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서는 매달 자가 검진, 정기적인 의사의 진찰, 정기적인 방사선과적 유방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국립암센터의 유방암 조기 검진 권고 안에 따르면 30 세 이후 여성은 매월 유방 자가검진, 35 세 이후 여성에서는 2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의사의 임상 진찰, 40 세 이후 1-2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의사의 임상 진찰과 함께 1~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술을 시행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유방촬영술은 유방을 압박한 후 유방의 내외측 및 상하측에 대한 X 선 사진을 얻어서 유방 내에 병소가 있는지 보는 검사로 유방암 발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방사선과적 검사법입니다. 유방촬영술로 유방내 조직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자가진단이나 의사의 촉진으로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작은 조기 유방암을 발견하는데 있어서 매우 예민합니다. 그러나 유방촬영술은 유방에 대해 X 선 조사를 하는 검사로서 방사선 피폭 위험이 있으므로 유방이 성장, 분화하고 있는 20대 이하의 젊은 여성에서는 기본 검사로 권장되고 있지 않습니다. 또한 주로 지방조직으로 형성된 서구 여성의 유방과는 달리 우리나라 여성의 유방은 치밀한 섬유조직으로 형성된 경우가 많아 유방촬영술만으로는 작은 병소가 가려져서 병소의 발견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유방촬영술에서 치밀 유방을 보이는 여성에서는 초음파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유방암 진단에 있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유방 촬영술 소견상 종괴등의 이상 소견이 보이는 경우 병소를 더 자세히 평가하기 위해서 유방 초음파를 보조적 검사로서 시행하게 됩니다. 종괴가 있는 경우 유방 초음파는 낭성 종괴와 고형 종괴를 구별하는데에 용이하며 암진단의 확진을 위해서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 초음파 유도하에 실시간으로 종괴를 관찰하면서 조직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특수검사로서 유선조영술 검사, 전산화단층촬영술(CT) 이나 유방자기공명술(MRI) 등의 검사도 있습니다.